Make A Better Human Life

모든 사람이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The Truth

좋은 말 + 좋은 말 = 좋은 말

'24.12.30(월) 복음의 통로

평카박 2024. 12. 30. 09:43
728x90

- 주님과 함께하는 나의 하루

우리가 다른 가까운 마을들로 가자 거기서도 전도하리니 내가 이를 위하여 왔노라(마가복음 1:38).

- 다산, 어른의 하루

군자구저기 소인구저인(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 논어).

해석: 군자는 자기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다른 사람에게서 구한다.

평카박의 다짐: 나로부터 복음이 나오도록 해야한다.

ChatGPT:

군자의 삶: 내면의 성찰과 세상을 향한 실천

"군자는 자신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남에게서 구한다(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와 "우리가 가까운 다른 마을들로 가서 거기서도 전도하자. 내가 이를 위해 왔노라(마가복음 1:38)"는 언뜻 보기에 서로 다른 맥락의 말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말씀은 자기 성찰과 외부로의 실천이라는 중요한 가르침을 공유합니다.

1. 내면에서 시작되는 실천

공자의 말씀은 군자가 자신에게서 답을 구하며 내면을 단련하는 자세를 강조합니다. 반면, 예수님의 말씀은 자신의 소명을 깨달아 외부로 나아가 실천하려는 자세를 보여줍니다. 이 두 가르침은 서로를 보완합니다. 내면의 성찰 없이는 진정한 실천이 이루어질 수 없고, 실천 없는 성찰은 그저 머릿속에만 머무는 공허한 이론이 될 뿐입니다.

  • 군자는 먼저 자신의 부족함을 돌아보고 그것을 개선하는 과정을 통해 성장합니다.
  • 예수님은 내면의 소명을 깨달은 뒤, 그 소명을 실현하기 위해 세상으로 나아갑니다.

2. 성찰과 실천의 순환 구조

군자의 태도는 성찰을 통해 스스로를 다스리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자기완결적인 과정이 아닙니다. 내면의 변화는 외부 세계에서의 행동으로 이어져야만 온전히 완성됩니다. 예수님의 복음 전파는 그러한 실천의 모델을 보여줍니다.

두 말씀은 우리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 내면의 반성: 먼저 스스로를 돌아보고,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개선하라.
  • 외부로의 확장: 내면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세상을 향해 선한 영향력을 미쳐라.

3. 오늘날 우리의 적용

이 두 가르침은 현대인의 삶에도 깊은 통찰을 줍니다. 우리는 흔히 문제의 원인을 외부에서 찾고, 자기 성찰을 소홀히 합니다. 반면, 성찰에만 머물러 실제적인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내면과 외부, 성찰과 행동의 균형을 통해 우리는 더 나은 자신과 세상을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결론

"군자는 자신에게서 구하고, 소인은 남에게서 구한다"는 가르침과 "우리가 다른 마을로 가자"는 예수님의 말씀은 각자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나왔지만, 우리에게 내면의 성찰과 외부 실천의 중요성을 동시에 일깨웁니다. 자기 자신을 돌아보는 데서 시작해 세상을 향한 실천으로 나아가는 삶,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군자의 길이며 소명을 완수하는 길입니다.

이미지

조용한 숲속에서 한 사람이 자신을 성찰하며 앉아 있는 장면과, 멀리 마을로 나아가는 또 다른 사람이 함께 표현된 그림. 숲과 마을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성찰과 실천의 과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냄. 이는 군자의 태도와 예수님의 소명을 한 장면으로 통합하여 전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