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님과 함께하는 나의 하루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명령한 대로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고 복을 누리리라(신명기 5:16).
- 다산, 어른의 하루
신체발부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 입신행도 양명어후세 이현부모 효지종야(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효경).
해석: 효의 시작은 부모에게 받은 몸을 함부로 상하게 하지 않는 것이고, 효의 마지막은 몸을 세워 도를 행하고 이름을 알려 부모를 드러내는 것이다.
평카박의 다짐: 효가 곧 사랑이고 복이다.
ChatGPT:
부모 공경, 효의 시작과 완성
부모를 공경하는 삶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의 도덕적 기반을 형성하는 중요한 덕목 중 하나입니다. 위의 두 문장은 각각 성경과 유교 경전에서 효(孝)를 어떻게 이해하고 강조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비롯된 이 두 문장은 부모 공경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그것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1. 신명기의 명령: 하나님의 뜻과 생명의 복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명령한 대로 네 부모를 공경하라...”라는 신명기 5장 16절의 말씀은, 부모 공경이 단순한 예의범절을 넘어 하나님의 명령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말씀은 출애굽기 20장의 십계명 중 제5계명을 반복하며, 부모를 공경하는 자에게는 땅에서의 장수와 하나님의 복이라는 구체적인 보상이 따른다고 밝힙니다.
이는 단지 도덕적 명제나 인간 관계의 지침을 넘어서, 부모 공경이 신앙적 실천이며 하나님의 질서 속에서 삶의 안정과 번영을 이루는 열쇠임을 나타냅니다.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것은 곧, 신과의 올바른 관계로 나아가는 출발점인 셈입니다.
2. 『효경』의 가르침: 효의 시작과 완성
중국 유교의 『효경』에서는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라 하여, 효의 시작은 부모에게서 받은 몸을 소중히 여기는 데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어서 “입신행도 양명어후세 이현부모 효지종야(立身行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에서는, 자신의 삶에서 도리를 다하고 이름을 후세에 떨침으로써 부모를 빛내는 것이 효의 완성이라고 말합니다.
유교적 효는 육체적 보호에서 시작해 사회적 성취와 도덕적 완성을 통해 부모의 이름을 드높이는 데까지 나아갑니다. 이는 단지 개인과 가족의 차원을 넘어, 공동체와 역사 속에서의 역할과 책임으로 확장된 효의 철학입니다.
3. 공통의 가치, 다른 표현
이처럼 성경과 『효경』은 서로 다른 문화와 종교 전통 속에 있지만, 부모를 공경해야 한다는 핵심 가치는 일치합니다. 신명기에서는 신앙적 순종과 생명의 복으로, 『효경』에서는 육체의 보존과 사회적 명성으로 그 가치를 구체화합니다. 결국 두 문장 모두, 부모 공경은 인간 존재의 시작이자 삶의 방향성을 정립하는 가장 근본적인 출발점이라는 점을 말하고 있습니다.
결론
부모를 공경하는 것은 단지 과거의 전통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삶의 원칙입니다. 그 출발은 감사이며, 그 완성은 책임입니다. 동서양의 지혜가 만나는 이 교훈은, 우리가 누구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되묻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이기도 합니다.
이미지
'좋은 말 + 좋은 말 = 좋은 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5.12(월) 의를 구하는 기도의 모습 (4) | 2025.05.12 |
---|---|
'25.05.09(금) 돈보다 우선인 것 (0) | 2025.05.09 |
'25.05.07(수) 할 도리 하기 (0) | 2025.05.07 |
'25.05.02(금) 힘이 있는 기도 (0) | 2025.05.02 |
'25.04.29(화) 자연스러운 거룩 (2) | 2025.04.29 |